표면거칠기의 측정방법과 표면구조
측정방식
*일반적으로 표면거칠기의 측정은 기계가공물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. 그러나 고무,
합성수지(연성)처럼 표면이 유연하거나 film과 같이 표면이 약하여 손상에 대해 우려가
클 경우도 있다. 이러한 대상물에 대한 거칠기의 측정은 촉침(stylus)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는 없다.
그러므로 비접촉 방식(non contactive method)으로써 광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게 되는데
이 방식에는 광절단식(optical sectioning)과 광파간섭식(optical interferometry)이 그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.
광절단식은 측정표면에 대해 일정방향에서 빛을 조사하여 표면을 광학적으로 절단한 것을
반사광축에서 현미경으로 측정하는 방식이고, 광파간섭식은 기준반사면과 피측정면에 의하여
반사되는 빛의 중첩에 의하여 생기는 광파간섭무늬를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표면거칠기를 측정하는 방식이다.
광절단식은 큰 거칠기 값을 갖는 거칠기 측정에서 편리하나 비교적 작은 거칠기값을 측정하는 데에는
한계가 있으므로 지금은 광파간섭식을 많이 이용하는 추세이다. 이는 작은 거칠기값도 측정이 가능하고
촉침식 측정이 해낼 수 없는 부분을 잘 보완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. 그러나 전반적으로 볼 때는 여러 가지의
거칠기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는 촉침식 측정방법이 보편화 되어 있고, 국내 산업체에서 활용하고 있는
표면거칠기의 대부분이 촉침식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촉침식 표면거칠기 측정에 대해 비교적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.
표면구조
*기계적으로 가공된 모든 표면은 고유의 표면구조를 갖는다. 표면 구조라 함은
표면의 입체적 구조를 형성하는 실측표면의 공칭표면에 대한 변위를 말하는데
거칠기(roughness), 파상도(waviness), 결(lay), 흠(flaw) 등으로 이루어진다.
(그림1-2) 그러므로 우리가 측정하고자 하는 모든 표면은 복합적인 표면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고 볼수 있다.
'품질관련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차나 불확도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? (0) | 2016.07.30 |
---|---|
용접의 공정변수 (0) | 2016.07.27 |
스폿용접부의 등급과 시험의 항목 (0) | 2016.07.21 |
한계 게이지 방식과 한계 게이지의 구분 (0) | 2016.07.18 |
4M개요와 변경발생원인? (0) | 2016.07.16 |